하이어코딩 RSS 태그 관리 글쓰기 방명록 mahiru
2021-01-19 09:25:02
728x90
반응형

변수(variable)라는 것을 지난 포스팅 중에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.

컴퓨터는 CPU(ALU)와 memory가 존재합니다. 이 둘 사이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저장하는 작업을 하는데

이 메모리에는 RAM과 SSD가 있습니다.

이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주소값이 필요합니다.

어디에 어떤 데이터가 있는지 알아야지만 해당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.

그러나 이 주소값은 00110111 과 같이 8개의 숫자로 되어있습니다.

외우기 엄청 어렵지요ㅠ

그래서 이런 어려움을 보안하기 위해 변수라는 것을 사용합니다.

우리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문자를 이용하여 값을 지정하는 것이지요. 

이 변수는 실제로는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는 장소, 즉 주소값이 됩니다.

컴퓨터가 자동으로 8진수 숫자로 변환시켜 줍니다.

변수는 상수(constant)와 다르게 값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.

주소값만 안다면 해당 값에 가서 값을 바꿔버리는 것이 가능하죠.

그래서 변수는 여러번 반복해서 같은 값을 사용할 때 변경하여 관리하는 것이 용이합니다.

 

변수를 만들 때 규칙이 존재합니다.

위에 까지는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가 가지고 있는 변수의 보편적인 특성입니다.

이제 프로세싱(processing)에서의 변수를 만들 때 규칙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.

 

프로세싱에서의 변수는

1. 대문자, 소문자, _(언더바, under bar),$(달러, dollar)가 가능합니다.

 

2. 첫 문자에 숫자 사용은 불가능합니다.

 

3. 길이 제한이 없습니다.

 

4. 대 소문자는 별개로 취급합니다.(case-sensitive)

 

5. 2개의 단어를 조합하는 경우 앞 문자는 소문자, 뒷 문자는 대문자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 규칙입니다.

전문적인 용어로 camel case라고 합니다. 형태가 낙타와 비슷하기 때문이죠.

이는 자바에서도 동일합니다.

e.g.)mouseX, mouseY

 

6. 예약어(keyword, reserved word)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
반응형

'processing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rocessing 다양한 도형 함수들  (0) 2021.01.18
프로세싱의 기본문법(pt.2)  (0) 2021.01.18
프로그래밍 용어 정리  (0) 2021.01.18
processing 개요, processing이란?  (0) 2021.01.18
이 페이지는 리디주식회사에서 제공한 리디바탕 글꼴이 사용되어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