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이어코딩 RSS 태그 관리 글쓰기 방명록 mahiru
전체 글 (33)
2021-01-18 09:54:14
728x90
반응형

사진 출처: 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Processing_(programming_language)

먼저 processing이 어디서 나왔는지 부터 알아봅시다.

processing은 Java에서 파생된 언어입니다.

그리고 이 Java는 C에서 파생된 언어로 

결과적으로 C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미국의 MIT에서 개발된 언어로 전산 전공자가 아닌

비 전산 전공자들이 디자인에 코딩을 접목시키고 싶은 사람,

반대로

전산 전공자들이 반대로 시각화를 코딩에 접목시키고 싶은 사람을 위한

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 

설치 사이트는

http://processing.org/download 입니다.

 

Download \ Processing.org

 

processing.org

들어가시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

이 페이지에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

설치 파일을 클릭하면 zip파일의 형태로 다운로드가 됩니다.

 

다운로드 받은 zip파일을 원하는 곳에 압축해제를 하면 끝입니다.

 

압축해제한 폴더 안에는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들어있습니다.

이 중에 processing.exe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processing이 실행됩니다.

 

 

반응형
2021-01-14 02:12:38
728x90
반응형

안녕하세요! 

오늘은 무료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인

pixabay에 대해

포스팅하겠습니다.

pixabay.com/ko/

먼저 위의 링크를 통해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보일 것입니다.

이 사이트의 좋은 점은 굳이 로그인이나 회원가입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.

그러니 하지 맙시다.

 

이제 검색바를 통해 원하는 사진을 검색합니다.

예를 들어 컴퓨터를 입력해서 검색해보겠습니다.

여기서 주의할 점은 상단의 짙은 바탕안에 있는 이미지는 건드리지 않습니다.

해당 사진들은 유료입니다;;

 

그 밑에는 무료 이미지들인데 제일 처음 사진이 좀 분위기 있고 괜찮아보이니 선택해보겠습니다.

선택하면 위와 같은 페이지로 넘어가는데 여기서 무료 다운로드를 누르고 규격을 선택해준 뒤

나오는 창에서 다운로드를 해주면 끝입니다.

대학생이나 일반인이 돈을 주고 이미지를 구하는 것은 부담이 클 것입니다.

이런 무료 사이트를 통해 필요한 무료 이미지를 구할 수 있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반응형
2021-01-12 22:51:38
728x90
반응형

리눅스에는 여러 디렉터리(directory)들이 존재합니다. 여기서 디렉터리란 하나의 저장공간을 의미하죠.

 

이 디렉터리들이 루트 디렉터리(root directory) / 를 꼭대기로 하여

밑으로 나무뿌리처럼 여러 디렉터리들이 존재하는 구조가 바로

계층적 트리구조이며 리눅스가 바로 이런 구조로 되어있습니다.

 

그러면 최상위 디렉터리부터 그 바로 밑의 디렉터리 순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.

 

/ - 최상위 디렉터리, 모든 디렉터리 위의 디렉터리로 모든 디렉터리로의 출발점

 

/ 디렉터리 안의 디렉터리들을 ls라는 명령어를 통해 보여줍니다.

/boot - 부팅할때 쓰이는 디렉터리

 

/proc -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디렉터리로 디렉터리에서 보이는 것은 실제 드라이브가 아닌 메모리에 저장됨

 

/lib - 라이브러리들을 담고 있는 디렉터리, 동적으로 공유하는 라이브러리를 저장

 

+ 공유 라이브러리(shared library)는 많은 프로그램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함수들을 모아놓은 라이브러리로 컴파일을 할 때 연결만 하여서 프로그램에 무리를 덜 주게 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. 이 공유 라이브러리에는 동적(dynamic)과 정적(static)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. 

 

 

/bin - 리눅스에서 쓰이는 명령어들이 담긴 디렉터리

 

 

/dev - 장치와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

 

/etc - 환경설정에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

 

 

/root - 리눅스 관리자를 위한 디렉터리

 

 

/sbin - 관리자를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디렉터리

 

 

/usr - 리눅스 서버 사용자들을 위한 디렉터리

 

 

/home - 사용자들의 홈 디렉터리, 사용자들이 접속시 처음 접하게 되는 디렉터리

 

 

/var - 로그와 같은 변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디렉터리

 

 

/tmp - 임시 데이터 저장 디렉터리

 

/mnt - 마운트를 할 때 사용하는 디렉터리

 

/lost+found - 에러나 문제가 있는 파일에 대한 데이터가 든 디렉터리

 

이상으로 / 디렉터리와 그 바로 밑 디렉터리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반응형


이 페이지는 리디주식회사에서 제공한 리디바탕 글꼴이 사용되어 있습니다.